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1. MinGW - w64 설치하기

udamy/임베디드 개발자가 되자

by 움바둠바 2024. 8. 7. 21:58

본문

728x90

맥북에서는 냅다 gcc 어쩌구.c를 하면 컴파일이 되지만

윈도우에서는 안된다 => gcc로 컴파일을 하기 위해서는minGW를 설치해줘야함!

 

[공식사이트]

https://www.mingw-w64.org/

 

MinGW-w64

 

www.mingw-w64.org

 

왼쪽에 있는 Downloads 탭으로 들어가준다

 

 

스크롤을 최대한 아래로 내려보면!! sources 카테고리 안에 SourceForge 사이트로 연결되는 곳이 보인다. 클릭해서 이동해준다

 

 

그러면 이런 사이트로 들어가진다.

 

여기서 또 스크롤을 아래로 아래로 내려주면,,,

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나는 여기서 .exe파일을 통해 설치를 진행하려 하였지만, 자꾸 에러가 나와 하지 못했다!

그냥 직접 압축파일로 받아서, 설치해주는 방법을 사용해주려고 한다.

여기서 두번째 파일 (x86_64-posix-seh) 를 받아준다.

 

아무튼 설치하고 나면 .7z파일이 받아진다. 압축파일이라 반디집을 이용하면 풀어줄 수 있다.

압축해제하면 "mingw64"라는 폴더가 나온다. 이걸 프로그램 폴더에 넣어준다.

 

이런식으로 말이다.

 

그리고 환경변수 설정만 해주면 되는데..

 

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다

 

 

환경변수를 클릭하면

 

이런 화면이 나온다

시스템 변수에 있는 목록을 잘 살펴보면 (스크롤을 내려보자!)

Path라는 부분이 보인다

 

Path를 선택하고, 편집을 눌러준다

 

새로만들기를 클릭하고, 아까 옮겨준 mingw64파일 속 bin폴더의 경로를 넣어주고, 확인을 눌러주면 된다.

 

 

 

잘 설정됐는지를 확인하려면

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해서

 

"gcc -v" 라고 입력해보면

이렇게 gcc 버젼을 확인할 수 있으면, 정상적으로 설치된것이다!

 

 

 

몇년만에 다시보는 헬로월드,,,,

 

 

정상적으로 컴파일과 실행이 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!!

 


사실 이전까지 gcc는 맥북에서만 쓰고, 윈도우에서는 따로 설정하기 귀찮아서 매번 비쥬얼스튜디오에서 새롭게 솔루션을 만들어서 사용했었다.

이렇게 설정한김에.. 맥북에서 하던것과 똑같이 할 수 있을것같다..ㅎㅎ

이런식으로 환경설정하는게 매번 어려워서,, 나중에 환경이 바뀌었을 때 다시 참고할 수 있도록 정리해봤다!  

728x90

'udamy > 임베디드 개발자가 되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. 아두이노 (2) - 각종 장치 살펴보기  (0) 2024.09.02
4. 아두이노 (1) - 시작해보기  (0) 2024.08.30
3. c 리뷰 2  (0) 2024.08.21
2. C 리뷰 1  (0) 2024.08.08

관련글 더보기